고환염이란?
고환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고환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고환에 염증이 생겨서 고환이 있는 부분이 부어서 아프고 열이 납니다(덜덜 떨릴 정도로 한기가 드는 일이 많음).
일어나 있어도 누워 있어도 통증이 심해서 고통스러울 수 있습니다.
고환염은 왜 생기나요?
증상 발현에 따라 급성과 만성 고환염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급성 고환염의 원인은 대부분 세균 감염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흔한 것으로는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연쇄상 구균이 많습니다.
신체의 다른 감염 질환에 이어 2차적으로 올 수도 있으며, 혈류를 통하여 감염, 정관을 통한 감염 등의 경로가 있습니다.
세균감염이 원인인 경우 고환염은 한쪽에서만 일어나며 양쪽에 동시에 일어나는 일은 드뭅니다.
볼거리에 의해 일어나는 고환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만성 고환염은 고환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 병입니다.
고환염의 증상은?
급성 고환염은 대개 아프고, 붓고 발열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볼거리 (유행성 이하선염)과 같이 급성 감염의 2차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는 고환의 위축을 가져와 차후에 무정자증이나 정자 감소증이 되어 남성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만성고환염의 경우는 스스로 느끼는 증상은 적으나 고환이 붓고 단단한 경우가 많고, 고환에 울퉁불퉁한 멍울이 생기기도 합니다.
고환염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고환염의 치료는 원인 치료가 원칙입니다. 즉 세균 감염에 대하여 항생제를 처방하고, 소염 진통제를 동시에 사용합니다.
고환염 그 자체는 며칠이면 쾌유되지만 그 후에 고환의 위축을 초래하고, 양쪽 고환이 침해되면 불임증이 될 수 있습니다.
농양을 형성한 경우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회복기간 동안 안정하여야 하며 냉습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고환염의 치료는 비뇨기과의 담당입니다.
어린이의 경우 유행성 이하선염을 수반하여 일어난 경우에도 마찬가지 입니다.
생활 가이드
치료 중에는 안정에 힘쓰고 고환을 냉습포 합니다. 냉습포는 얼음주머니를 고환에 댄 채 식히지 말고, 찬물에 짠 수건으로 고환을 싸듯이 하여 식히기 바랍니다.
급성부고환염
성교전파를 통하거나 대장균등의 원인균에 의하여 부고환에 염증이 생긴 경우를 말합니다.
급성부고환염의 원인
초음파검사상 부은 부고환
부고환의 염증은 주로 하부요로에 있던 병원균이 상행성감염(하부기관에서 상부기관으로 감염되는 경우)으로 발생하지만 외상이라든지 요도에 이물의삽입 및 전립선의수술 등도 원인이 됩니다.
흔한 원인균으로는 40대 이하의 남성에서는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균 (C. trachomatis)이 가장 흔하며, 40세 이상의 남성에서는 대장균이 흔하게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40대 이하의 부고환염은 성전파성 질환인 반면, 40세 이상에서는 세균뇨나 전립선염에 의해 이차적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들 세균이 부고환에 이르는 경로는 요도나 전립선에 있는 병원균이 요중에 포함되어 배출될 때에 요류의 압력에 의하여 사정관, 정관을 거쳐
부고환에 도달하기도 하고, 때때로 정관주위 림프관을 따라 부고환에 도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관정관역류는 심한 운동이나 성적 흥분에 의해 촉진될 수 있습니다.
급성부고환염의 치료 방법
전신증상이 동반된다든지 감염이 심한 경우 입원을 요하며 치료를 위해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급성기의 3-4일간 절대안정을 취해야 하며
고열이 있으면 환부에 냉습포를 적용하고 열이 없으면 온습포를 적용하여
염증과정을 진정키시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진통제와 해열제를 동시에 투여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외과적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