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로결석의 진단 요로결석을 진단하는 데에는 결석이 있는지 뿐만 아니라 결석의 위치, 성분, 크기, 요로감염의 동반 여부를 파악해야 합니다. 소변검사에서는 혈뇨가 있는지 알 수 있는데 약 15%에서는 혈뇨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요 침사검사에서 요산, 칼슘, 수산, 시스틴 등의 결정을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결석성분의 추정이 가능합니다. 요의 산성도를 측정하면 요산석 혹은 시스틴석 감염석에서 특징적으로 보이므로 결석 성분의 추정에 도움이 됩니다. 소변 검사에서는 또한 요로감염이 동반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1. 요검사 & 요배양 검사 혈뇨, 농표, 단백뇨, 당뇨의 진단, 소변의 산성도 진단, 소변의 균배양 |
![]() |
2. 방사선 검사 경정맥 요로조영술(IVP) |
![]() |
3. 초음파 검사 초음파 검사 |
![]() |
4. 컴퓨터 단층촬영(CT) CT는 결석의 모든 환자에서 시행하는 것은 아니고 경정맥 요로조영술 및 단순복부촬영 등의 방사선 검사를 통해 확인되지 못하는 결석이나 조영제 부작용을 가진 환자에게 사용합니다. |
![]() |